연예계도 가상 세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방탄소년단(BTS)은 에픽 게임즈가 만든 세계 최대 온라인 게임 플랫폼인 ‘포트나이트’를 통해 신곡 뮤직비디오를 공개하여 이용자들이 아바타를 통해 BTS 뮤직비디오를 함께 감상하고 안무를 따라 할 수 있도록 했다.
모바일 앱을 개발할 때 서버에서 비트맵 이미지를 받아 보여주는 기능을 구현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BitmapFactory와 같은 저수준 API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안정적으로 통신하고, 원하는 형식으로 가공하여 효율적인 자원 사용을 통해 노출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복잡한 처리가 필요한 작업입니다. 다행히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Hive SDK에서는 다양한 선택지 중에 ‘Android […]
과거의 게임은 유저에게 일종의 소비 대상이었다. 개발진은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고 유저는 게임을 즐기는 것. PC든 콘솔이든 모바일이든, 게임이 무료이든 유료이든 혹은 부분 유료이든 이러한 기본법칙(?)은 큰 틀에서 유지되어 왔다.
게임은 게임 본연의 기능 이 외에도 유저가 게임을 직접 하기까지 마켓 출시를 위해 신경 써야 할 부분들이 있습니다. 유저를 식별할 수 있는 로그인 과정이 있어야 하며 출시하는 국가마다 법령에 따른 약관이나 나이에 따른 안내, 개발자의 공지를 보여줄 수 있는 보드, 이벤트를 안내할 수 있는 배너와 노티피케이션, 그리고 안정적인 구매 시스템인 빌링과 이에 따른 백엔드 서비스와 […]
놀이와 노동을 분리된 개념으로 생각하던 지금까지의 인식을 깨는 개념이다. 비대면 산업이 발달한 지금,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유저들은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가상 공간에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게 됐고, 그러한 욕망이 NFT라는 형태로 구현된 것은 아닐까.
2045년, 사람들은 실제 현실보다 가상 세계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러닝머신 위에서 VR 기기와 전신 슈트를 입고 가상 세계에 접속하면, 아바타를 통해 마치 실제와 같은 사이버 라이프를 즐길 수 있다. 현실 속에서 밥을 먹고 잠을 자지만, 일, 쇼핑, 여가 등의 나머지 삶은 모두 가상 세계 안에서 영위한다. 2018년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속 배경에 대한 설명이다. […]
(주의) 이 글에는 주제의 특성상 비속어 및 욕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데이터 사이언스 파트에 이어서 채팅 어뷰징 탐지 시스템의 전반적인 서비스 흐름과 신규 시스템 도입을 위한 부하 분산 처리 등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데이터 흐름과 흐름도 좋은 서버는 어떤 것일까요. 최신 기술이 들어가고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소화할 수 있는 서버가 좋은 것일까요? 개인적으로 가장 좋은 서버는 프로젝트에 […]
(주의) 이 글에는 주제의 특성상 비속어 및 욕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게임을 하며 욕설을 마주한 적이나 직접 내뱉은 적이 있습니까? 우리는 게임을 하며 많은 욕설을 마주하게 됩니다. 얼굴이 공개되지 않는 공간에서 게임을 이용하는 유저들 간에 서로를 향한 욕설은 서로에게 큰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게임사들은 채팅을 필터링하여 욕설을 ***(별)로 마스킹 처리를 하거나, 다른 단어로 […]
오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게임을 출시한다. 많은 사람들의 노력을 모아 힘들게 런칭한 게임이 꾸준히 사랑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유저들과의 소통, 홍보, 안정적인 게임 접속 환경, 꾸준한 업데이트와 다채로운 이벤트 등 무수히 많은 요소들이 있을 것이다. 이 중 유저들이 직접 볼 수는 없지만, 항상 뒤에서 사용자 게임 경험을 향상시키고,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
컴투스의 게임을 한 번이라도 즐겨봤다면 ’하이브(Hive)’라는 이름이 낯설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이브는 게임빌과 컴투스가 오랜 시간 축적해 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출시한 ’게임 전문 플랫폼’이다. 제작부터 운영은 물론 빅데이터를 통한 분석까지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 툴을 제공하며 컴투스 그룹의 대표작들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조력자로 자리해 왔다. 현재 전 세계에서 인기리에 서비스 중인 ‘서머너즈 워’, ‘별이되어라!’ 등, 글로벌 성공의 […]
예측 서비스 구성 클라이언트는 방화벽을 통해 Hive 콘솔의 예측(Prediction) 웹페이지에 접근 할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ML)은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하며 예측(Prediction)에서 L4를 통해 API 접근이 가능합니다. 예측(Prediction)은 스케줄링 서버들을 이용하여 AutoML Tables의 검증된 서비스 모델 정보를 DB에 업데이트 하며, 클라이언트가 예약한 일자,시간에 일괄 예측을 수행합니다. 머신러닝(ML) API는 Google Cloud Platform의 BigQuery에 저장된 트레이닝/서빙 수행 이력과 Kubernetes Engine […]
Hive 애널리틱스는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발생하는 대용량 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분석 결과를 활용하는 시점에는 이미 유저의 행동이 완료된 상태이고, 때로는 이미 이탈하여 게임을 삭제 한 이후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저의 행동을 미리 예측하고 제공하자”라는 미션을 세우고, 머신러닝 기술과 대용량 로그를 기반으로 유저의 이탈 가능성을 예측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