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패키지 게임이 한창 유행이던 때, 게이머들이 레벨과 능력치를 임의로 변경해 손쉽게 게임을 진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당시 게임 유저들이 즐겨 쓰던 어뷰징 툴(PC Tools, 게임 위자드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 빠르게 엔딩을 보거나 숨겨진 미션을 찾는 것이 유행이었다. 그 모습들을 보며 놀랐던 기억이 난다. 지금 생각해 보면 이때의 경험이 기자를 게임보안 업무로 이끈 주요 동기 중 […]
2024년 5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San Francisco Moscone Center에서 2024년도 RSA 컨퍼런스가 열렸다. 총 644개의 보안 회사가 참여해 4만 명 이상의 발길이 이어졌다. RSA Conference는 세계 최대 사이버 보안 행사로, 1991년 보안회사 RSA에서 소규모로 주최한 이후 현재까지 32년간 사이버 보안 커뮤니티를 이끄는 큰 행사 중 하나로 자리를 잡았다. 올해 컨퍼런스는 ‘The Art of Possible’ 이라는 […]
ㅣ4월 10일 Building Al-powered games with Gemini and Flutter AI 기술을 게임에 통합해 사용자 맞춤형 게임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여러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Flutter와 Dart를 사용하는 이점과 함께, AI를 게임에 어떻게 도입할 수 있는지도 다뤄졌다. 특히, Flame 게임 엔진과 Gemini AI로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 가운데 AI가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고 적응하는 게임을 만드는 방법이 […]
지난 4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호텔에서 Google Cloud NEXT(이하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4 행사가 열렸다.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는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신제품, 서비스 업데이트, 고객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연례행사다. 토마스 쿠리안(Thomas Kurian) 구글 클라우드 CEO는 2022년 Recap:Seoul에서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는 향후 10년의 구글 클라우드의 비즈니스 방향성을 알 수 있는 자리”라고 언급한 바 […]
Hive 애널리틱스는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발생하는 대용량 로그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지표, 세그먼트, 퍼널 분석뿐만 아니라 빅쿼리(Bigquery)를 통해 수집된 로그를 조회해 목적에 맞는 분석을 수행해 볼 수 있다. VIP 유저 분석, 유저 분류 분석, 유저 생애 주기 분석 등 그 주제는 다양하다. 본 글에서는 Hive 애널리틱스 로그를 활용한 한 가지 분석 […]
하루에도 수많은 유저가 게임에 접속한다. 각 유저는 게임 내에서 광고 시청, 게임 플레이, 결제 등 다양한 행동 패턴을 보이고, 이 패턴은 유저마다 다르다. 다양한 행동 패턴을 보이는 유저들에게 획일화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는 것은 게임 운영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유저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게임 유저를 분류하고, 분류된 유저별 개인화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이론을 아는가? 일본 도쿄 공업대학의 로봇 공학자 모리 마사히로 교수의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인간을 어설프게 모방한 존재를 보면 불쾌감을 느낀다고 한다. 로봇 공학뿐만 아니라 게임, VR(Virtual reality)업계에서는 불쾌한 골짜기를 극복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인간의 모습을 보다 온전히 복제하기 위해 기술 발전에 힘쓴 결과, 노력의 결실이 우리 삶에 다가오고 있다. 오늘은 버추얼 휴먼 […]
몇 년 전 개발 트렌드였던 딥러닝 기술은 점차 발전하여 새로운 세대의 AI로 결실을 맺어왔다. 현재 AI는 개발 시간 단축, 새로운 콘텐츠 개발, 운영 및 관리 프로세스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세상에 알려진 여러 AI 중 일부를 소개하고 앞으로 게임 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함께 알아보자.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AI4Animation’ 캐릭터 애니메이션 및 제어를 위한 딥러닝(Deep […]
‘사내 IT 인프라’ 괜스레 낯설게 느껴지는 단어다. 동료들과 협업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툴인 메신저와 그룹웨어, 게임 운영을 위한 하이브 SDK와 서버 등. 모두 IT 인프라에 속한다.
잘 만든 게임을 출시해도 유사한 게임이 곧바로 출시되는 시장이 바로 모바일 게임 시장이다. 때문에 게임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유저와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저와의 소통 창구로써 포럼 기능을 활용한다면 전략적으로 게임 유저와의 상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모바일 앱을 개발할 때 서버에서 비트맵 이미지를 받아 보여주는 기능을 구현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BitmapFactory와 같은 저수준 API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안정적으로 통신하고, 원하는 형식으로 가공하여 효율적인 자원 사용을 통해 노출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복잡한 처리가 필요한 작업입니다. 다행히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Hive SDK에서는 다양한 선택지 중에 ‘Android […]
과거의 게임은 유저에게 일종의 소비 대상이었다. 개발진은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고 유저는 게임을 즐기는 것. PC든 콘솔이든 모바일이든, 게임이 무료이든 유료이든 혹은 부분 유료이든 이러한 기본법칙(?)은 큰 틀에서 유지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