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돌아온 천공의 축제! 글로벌 모바일 e스포츠 대회 SWC2025 더 재미있게 관전하기

전 세계 ‘서머너즈 워’ 소환사들을 가슴 뛰게 할 시간이 돌아왔다. 바로 글로벌 e스포츠 축제, ‘서머너즈 워 월드 아레나 챔피언십(SWC) 2025’의 막이 오른 것이다. 2017년 한국 모바일 게임 최초로 출범한 이래, SWC는 매년 성황리에 개최되며 글로벌 모바일 e스포츠 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세계 각지의 소환사들을 열광시킨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와 현재 진행 중인 SWC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SWC2025의 주요 관전 포인트와 남은 일정을 살펴보려고 한다.

그럼, 출발!

SWC 정복의 첫 걸음

e스포츠 대회를 재미있게 즐기려면, 당연히 게임을 알아야 하는 법! 올해로 11주년을 맞은 컴투스의 장수 RPG 게임,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를 살짝 찍먹 해보자.

‘서머너즈 워’의 핵심은 수많은 개성 넘치는 몬스터를 ‘육성’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조합’하는 데 있다. 진화, 강화, 각성, 룬, 아티팩트 등 몬스터의 잠재력을 더욱 높이 끌어올릴 수 있는 성장 시스템을 활용해 극한의 육성이 가능하다. 특히 ‘각성’ 시스템의 경우, 몬스터의 드라마틱한 외형 변화도 체험할 수 있어 보는 재미까지 더한다.

환골탈태 수준인 소환사 ‘하르퓨’의 2차 각성 전후. 여기가 바로 일러 맛집이다!

이렇게 육성한 몬스터들은 5가지 속성(불, 물, 바람, 빛, 어둠)과 그에 따른 상성, 고유 스킬 등을 고려해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냐에 따라 판을 뒤엎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의 허를 찌르는 다양한 전략을 펼쳐볼 수 있다. 이처럼 간단한 조작 뒤에 숨겨진 끝없는 육성의 재미와 무한한 전략의 깊이가 바로 전 세계 유저들을 사로잡은 비결이라 할 수 있겠다.

여기에 ‘카이로스 던전’, ‘시험의 탑’, ‘이계 레이드’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더해져 즐길 거리가 풍부하다. 그동안 모바일 게임 유목민이었다면, 지금 바로 다운로드해 11년 장수 게임의 매력을 체험해 보자.

SWC 진행 방식

세계 각지의 소환사들이 ‘최강자’의 명예를 놓고 격돌하는 글로벌 e스포츠 대회, ‘서머너즈 워 월드 아레나 챔피언십(SWC)’!

기존 ‘중국 별도 선발전’의 명칭이 ‘중국 지역 선발전’으로 변경됐다.

SWC는 크게 ① 지역 예선/중국 지역 선발전/오픈 퀄리파이어 ② 지역 컵  ③ 월드 파이널의 형태로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SWC2025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대략적인 진행 방식 등은 아래 표를 참고 바란다.

구분 (*SWC2025 기준)경기 진행 방식참가
인원
선발
인원
지역 예선유럽, 미주 지역 예선·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 전 경기 BO5
16명
(지역별)
각 8명
아시아퍼시픽 지역
(동남아시아·한국·기타 아시아·일본) 예선
8명
(지역별)
각 2명
(총 8명)
중국 지역 선발전 예선16명8명
오픈 퀄리파이어(프랑스)· 8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 전 경기 BO5
8명1명
지역 컵(유럽·미주·아시아퍼시픽)8명
(지역별)
각 3명
(총 9명)
중국 지역 선발전 본선8명2명
월드 파이널· 12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 8강 1라운드 ~ 4강은 BO5
· 결승전은 BO7
12명1명
* 싱글 엘리미네이션: 일반적인 토너먼트 방식으로, 한 번이라도 패배 시 탈락이 확정된다.
* 더블 엘리미네이션: 한 번 패배해도 패자조에서 부활의 기회가 있으며, 두 번 패배 시 최종 탈락한다.
* BON: Best of N의 약자로, N번의 세트 중 정해진 승수(ex. BO5는 5판 3선승제)를 먼저 달성하는 쪽이 이긴다.

다가오는 경기 관전 POINT

현재 SWC2025는 본선인 지역 컵에 앞서 지역 예선전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다가오는 경기들을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그냥 봐도 재미있지만 알고 보면 더 재밌을 몇 가지 관전 포인트들을 준비했다! 😋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자.

① 역대급 중국 지역 선발전: 전통 강호를 무너뜨린 복병과 초대형 BIG 패밀리의 등장!

👀 관전 포인트 ① 역대급 중국 지역 선발전: 전통 강호를 무너뜨린 복병과 초대형 BIG 패밀리의 등장!

이번 중국 지역 선발전 예선은 그야말로 흥분의 도가니였다. 역사상 유일한 SWC 월드 파이널 2회 우승자인 LEST가 지난 예선에서 KANGJING에게 3:0 완패를 당하는 충격적인 이변이 일어난 것이다! 관록의 LEST를 맥없이 꺾어버린 신성의 등장에 장내는 큰 혼란에 빠졌다.

중국 지역 선발전 예선 2일 차에 펼쳐진 LEST와 KANGJING의 경기

두 선수는 오는 9월 6일 본선에서 두 선수는 월드 파이널 진출권을 놓고 단 한 번만 져도 탈락하는 단두대 매치를 벌인다. 과연 LEST가 ‘전통 강호’의 자존심을 회복할지, ‘슈퍼 루키’ KANGJING이 다시 한번 LEST를 제압해 새로운 역사를 쓸지, 놓쳐서는 안 될 빅매치다.

‘BIG’이라는 단어가 중국에서는 ‘大哥(따거)’ 즉, ‘큰 형님’이라는 뜻으로 쓰인다고 한다.

같은 날 본선에서 펼쳐질 ‘BIG’ 패밀리의 대격돌도 초미의 관심사다. 선수명에 모두 ‘BIG’을 붙인 이 선수들은 올해 예선 인원이 16명으로 확대되면서 같은 길드에서만 무려 6명이 출전해 화제를 모았다.

상당한 월드 아레나 승률을 자랑하는 BIG.J

그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선수는 길드의 수장이자 유일한 여성 참가자인 BIG.J다. ‘J’는 중국어로 ‘누님(姐姐, jiejie)’을 뜻하는데, 이름처럼 BIG 패밀리를 이끄는 ‘왕누나’ 포지션인 셈이다. 대진표 상 유일한 여성 선수인 만큼,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

BIG 패밀리 대격돌은 LEST의 설욕전과 같은 날인 9월 6일에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중국 지역 선발전 본선에서 펼쳐질 짜릿한 드라마를 놓치고 싶지 않다면, 지금 바로 캘린더에 ‘9월 6일 (토) 오후 1시’ 일정을 등록해 두자.

② 미주 지역 강자 TRUEWHALE, 아메리카 컵 3연패 가나요?

👀 관전 포인트 ② 미주 지역 강자 TRUEWHALE, 아메리카 컵 3연패 가나요?

SWC2024 아메리카 컵 결승 영상

아메리카 컵에서 2023년에 이어 2024년까지 2연패를 달성하고 미주 지역 최강자로 떠오른 TRUEWHALE! 아메리카 컵 챔피언을 꿈꾸는 미주 지역 선수들에게 그는 거대한 수문장과도 같은 존재다.

하지만 그 견고해 보였던 TRUEWHALE이 이번 지역 예선에서 크게 흔들렸다. 지난해 아메리카 컵 8강 진출자였던 VINNY가 무서운 기세로 치고 올라와, TRUEWHALE을 3대 0으로 꺾어버린 것.

이후 펼쳐진 패자조 경기에서 본선 진출권 획득에 성공한 TRUEWHALE은 오는 10월 12일 펼쳐질 아메리카 컵 8강에서 VINNY와 운명처럼 다시 만나게 됐다. KANGJING과 본선에서 다시 맞붙게 된 LEST처럼, TRUEWHALE에게도 다시금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과연 TRUEWHALE이 ‘수문장’의 자존심을 지키고 아메리카 컵 3연패라는 대기록을 세울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③ 아시아퍼시픽 컵 in 부산, 한국 챔피언 탄생할까?

👀 관전 포인트 ③ 아시아퍼시픽 컵 in 부산, 한국 챔피언 탄생할까?

지난해 베트남에서 열렸던 아시아퍼시픽 컵이 올해는 10월 18일(토) 오후 2시, 부산에서 열릴 예정이다. 현재까지 아시아퍼시픽 컵 진출이 확정된 선수로는 예선 A조(동남아시아)의 KELIANBAO와 PU, 그리고 예선 B조(한국)의 SCHOLES와 ZZI-SOONG이 있다.

쉽지 않은 대진이 되겠지, SCHOLES와 ZZI-SOONG 역시 만만치 않은 실력자이므로 기대를 걸어볼 만하다.

작년 월드 챔피언 KELIANBAO, 2024 아시아퍼시픽컵 우승자 PU, 그리고 그들과 맞서는 한국 선수들까지… 한국인에겐 사실상 이게 결선 무대라고 봐도 무방하다. 아직 공석인 예선 C조(기타 아시아)와 D조(일본) 선수들의 자리는 각각 8월 16-17일, 23-24일에 결정될 예정이다.

이번 아시아퍼시픽 컵에는 한국 팬들의 심장을 뛰게 할 두 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바로 ZZI-SOONG과 SCHOLES다! ‘한반도 1등’이라 불리는 ZZI-SOONG은 2023년 아시아퍼시픽 컵 3위라는 성적으로 세계 무대에서도 실력을 입증한 바 있다. 특히 지난 2024 서머너즈 워 한일 슈퍼매치에서는 MVP로 선정되었는데, 승자 연승전에서 일본 선수 세 명을 연달아 격파하는 명장면을 남겼다.

국내 명문 길드 ‘바코드’의 수장인 SCHOLES 역시 서머너즈 워 한일 슈퍼매치에서 ZZI-SOONG과 함께 한국의 승리를 이끈 주역이다. 실력과 재미를 모두 갖춘 그의 플레이는 이번 대회에서도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일전에서 환상의 호흡을 보여준 두 주역이 작년 월드 챔피언인 KELIANBAO와 2024 아시아퍼시픽 컵 우승자 PU 등 세계적인 강자들을 상대로 어떤 드라마를 써 내려갈지 기대가 된다.

* 흥미진진했던 2024 서머너즈 워 한일 슈퍼매치 경기가 궁금하다면, 좌측 기사를 클릭해 보자.

올해 아시아퍼시픽 컵은 한국 선수들에게는 홈그라운드인 부산에서 열리는 만큼, 두 선수가  2018년 BEAT.D(빛대) 이후 7년 만에 한국인 챔피언의 계보를 이어나갈 수 있을지 지켜보는 것도 또 하나의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가 되겠다!

SWC2025 현황 및 향후 일정

현재 SWC2025는 아시아퍼시픽 지역 일부(기타 아시아, 일본)와 유럽 지역의 예선, 중국 지역 선발전 본선을 앞두고 있다. 유럽 지역 예선의 경우, 전년도 월드 파이널 준결승까지 올랐던 NEF와 ISMOO 등 주요 선수들이 기복 없는 퍼포먼스로 돌아올지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9월 20일부터는 유럽 컵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지역 컵 경기가 펼쳐진다. 아시아퍼시픽 컵의 경우, 10월 18일 (토)에 🌺대한민국🌺 부산에서 진행될 예정이니, 관심 있는 유저들은 일정에 참고하길 바란다!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12인이 진출하는 대망의 찐찐찐 결승! 이번 월드 파이널은 11월 1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다. 모든 경기는 ‘서머너즈 워 e스포츠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될 예정이다. 시청자를 위한 다양한 선물도 준비되어 있으니 놓치지 말자!


서머너즈 워 e스포츠 공식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지금까지 SWC2025를 더 재미있게 즐기기 위한 관전 포인트들을 짚어봤다. 올해는 또 어떤 선수가 우리를 놀라게 하고, 어떤 새로운 전략이 메타를 뒤흔들게 될까? 

‘나중에 봐야지’ 하고 미루는 순간, 새로운 전설이 탄생하는 짜릿한 순간을 놓치게 될지도 모른다. 새로운 역사의 증인이 되고 싶다면, 지금 바로 서머너즈 워 e스포츠 채널을 구독하고 알람 설정해 두자. 새로운 전설이 탄생하는 순간을 함께할 시간이다!

컴투스온

안 해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해본 사람은 없다는 ‘서머너즈 워’! SWC2025의 뜨거운 열기와 함께 '서머너즈 워'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