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글

Hive 채팅 시스템 구축기
Hive는 GBaaS(Game Backend as a Service) 플랫폼으로서 로그인, 결제, 푸시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게임사가 게임 콘텐츠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한다. 우리 팀은 2024년 한 해 동안 리더보드, 매치메이킹, 리모트플레이 서비스를 연이어 오픈했으며, 12월에는 채팅 서비스까지 출시하여 Hive의 기능적 폭을 더욱 확장했다. 본 기사에서는 채팅 서버를 구축하며 체득한 내용을 공유하고, 개발 과정에서의 주요 고민들을 […]
- 하이브
- 하이브
- 기술이야기
- 채팅

Spring Boot에서 Virtual Thread 활용
현대 백엔드 시스템은 높은 동시성과 자원 효율성을 요구한다. 사용자 트래픽의 증가와 복잡해지는 API 호출, 외부 시스템과의 빈번한 통신 속에서 Java 백엔드는 주로 두 가지 처리 모델에 의존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Java 21에 포함된 Virtual Thread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기존의 익숙한 동기식 프로그래밍 모델(Spring MVC)을 유지하면서도 WebFlux 수준의 동시성 처리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부상했다. […]
- 기술이야기
- Java
- VirtualThread
- SpringBoot

LLM Judge 개요 및 신뢰도 검증 방안
최근 몇 년 사이 대형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의 발전 속도는 눈부시다. OpenAI, Google, Anthropic 등 주요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며, 이제 LLM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 다양한 산업과 업무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모델의 성능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평가하는 체계는 필수 요소로 부상했다. 기존에는 주로 사람 평가자를 통해 LLM의 응답 품질을 […]
- LLM 평가 기준
- 기술이야기
- LLMJudge
- AI평가
- 작동원리
- LLM Juge 신뢰검증

Google Cloud Next ’25 참관기 #2
기존의 데이터 파이프라인은 데이터 엔지니어가 수동으로 복잡하게 구축하고 관리해야 했지만, 이제는 AI 에이전트를 통해 자연어 기반으로 파이프라인을 생성하고 운영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데이터 엔지니어링 에이전트는 데이터 생성, 정제, 오류 탐지 및 수정까지 자동화하며, 직관적인 UI를 제공해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파이프라인 운영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기술이야기
- Google Cloud NEXT
- Google Cloud NEXT2025

Google Cloud NEXT ‘25 참관기 #1
2025년 4월,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는 수많은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다. 매년 개최되는 Google Cloud Next는 Google이 최신 기술과 비전을 공유하고, 고객 성공 사례를 발표하는 자리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이번 2025년 행사의 핵심 주제는 예상대로 AI였다. AI 중심의 기술 진화와 산업 변화의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키노트와 기술 세션, 전시 부스, 커뮤니티 프로그램까지 풍성하게 마련됐으며, […]
- 기술이야기
- Google Cloud NEXT2025
- Google Cloud NEXT

NATS 내부에서 살펴보는 메시지 매칭 구현
NATS는 분산 시스템을 연결하는 기술이다. 메시지 주소 지정, 검색 및 교환, 서비스 스트림 처리를 담당하며, 서비스 간 데이터를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Pub/Sub 기반 메시지 브로커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NATS 내부에서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핵심 자료구조인 Sublist를 살펴보고, NATS가 subject 기반 메시징 시스템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하는지 알아본다. subject 기반 메시징이란, 메시지를 특정한 subject에 따라 분류하고, 해당 subject에 […]
- 기술이야기
- NATS
- 분산시스템
- 메시지브로커
- Sublist구현

AI 핫이슈! ChatGPT·DeepSeek 다음은?
눈을 뜨면 쏟아지는 AI 뉴스, 지금 주목할 흐름은? 요즘은 아침에 눈을 뜨기 무섭게 새로운 AI 뉴스가 쏟아진다. 변화의 속도가 워낙 빨라 따라잡기도 벅차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어떤 흐름에 주목해야 할까? ‘Generative AI(생성형 AI)’는 이제 엑셀이나 파워포인트처럼 기본적인 업무 툴(tool)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은 AI를 단순한 보조 역할에 그치지 않고, 보다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
- Tredning
- AI
- 기술이야기
- OpenAI
- Agent
- DeepSeek
- Manus

Kubernetes Operator 패턴 구현체를 빠르게 탐색해보자
Kubernetes Operator는 사용자 정의 리소스인 CRD(Custom Resource Definition)를 감시하고, 변경 사항이 감지되면 지정된 로직을 실행하여 Kubernetes 오브젝트를 원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Operator는 Kubernetes API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리소스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 정의 컨트롤러로, 종료되지 않은 루프를 실행하며 동작한다. Kubernetes에서 운영되는 많은 오픈 소스는 이 operator 패턴을 구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argocd, agones, keda […]
- 기술이야기
- kubernetes
- operator
- 오픈소스
- 클라우드